Matsubara Hitoshi, Hokkaido
2017.06
©유성길
공립 하코다테 미래대학의 마쓰바라 히토시 교수는 일본 인공지능 연구의 선구자이다. 컴퓨터 장기라든지 로봇들의 축구 경기인 로보컵 같은 친근한 테마로 인공지능(AI)의 흥미진진함을 널리 알려 왔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에게 쓰게 한 소설이 '호시 신이치 문학상(일본의 SF 소설가 호시 신이치를 기리는 SF 문학상)'의 1차 심사를 통과해 세상을 놀라게 만들었다. 마쓰바라 교수가 목표로 삼고 있는 것은 '감성의 연구'라고 한다.
©유성길
유치원 때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인 「우주소년 아톰」을 보고, 마치 인간과도 같은 소년 로봇에 넋을 잃었습니다. 특히 아톰을 개발한 덴마 박사는 거의 우상이었습니다. 아버지께 덴마 박사의 직업이 과학자라는 말을 듣고는, 유치원 때부터 "어른이 되면 과학자가 될 거야."라는 말을 했었지요.
中중학교 때는 심리학자인 프로이트의 책을 많이 읽게 되었습니다. 좋아하는 뮤지션이자 작사가인 기타야마 오사무 씨가 추천했기 때문이었어요. 중학생이었으니 얼마나 이해할 수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인간의 마음은 알 수 없는 구석이 많고 재미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대학교 다닐 무렵에는 아톰과 프로이트를 향한 두 가지 관심이 이어져, 지성과 감성을 지닌 로봇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려면 로봇의 '머리'가 될 부분의 연구가 필요한데, 그 분야를 '인공지능'이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제가 도쿄 대학에 들어간 게 1977년이었는데, "인공지능을 연구하고 싶다."라는 이야기를 했다가 어떤 선생님의 격한 반대에 부딪쳤습니다. "인공지능 같은 건 쓰레기다."라는 말까지 들었어요. 하지만 당시에는 그 선생님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그렇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말하자면 1970년대라는 시기가 인공지능으로서는 '겨울'의 시대였던 것이지요.
원래 컴퓨터는 제2차 세계대전 중이던 1940년대에 군사용 숫자 계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실행하려는 목적으로 발명되었던 것입니다. 전쟁이 끝나자 이 기술을 일반 국민 생활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어요. 그리하여 1950~1960년대 중반의 미국과 유럽에서는, 컴퓨터로 추론 등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이를 '제1차 인공지능 붐'이라 부르지요.
그러나 1960년대에서 1970년대로 들어오며 좋은 결과가 뒤따르지 않자, '인공지능은 기대 이하'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고도경제성장이 한창이던 일본에는 이 붐이 들어오지 않았고, "인공지능은 불가능한 것 같다."라는 평판만 전해졌지요.
저로서는 "이렇게나 관심 밖으로 밀려난 연구가 세상에 있다니, 혹시 이게 더 재미있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원래 성격이 좀 청개구리 같은 데가 있어서, 비주류 노선으로 가려고 하는 타입이거든요. 다들 반대를 하니까 더 궁금했습니다.
대학원에 올라갈 때는, 이번에는 진짜 인공지능 연구를 해 보고 싶어서 공학부에서 로봇 연구로 유명한 선생님 연구실에 지원했습니다. 그 선생님의 연구 주제에 '인공지능'이라고 조그맣게 쓰여 있었기 때문이지요.
막상 연구실에 들어가니 선생님은 "인공지능에 관해서는 잘 모르니까 알아서 연구해라." 하시더군요.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연구할 때 인공지능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재미있을 것 같아서 일단 연구 주제 목록에 써 놨던 것뿐이라는 겁니다. 그래도 저는 연구해도 좋다는 말을 들은 것만으로도 기뻤지요. 지금도 감사하고 있습니다.
전문은 여기로
http://www.tjf.or.jp/clicknippon/ko/mywayyourway/11/post-28.php
원문은 여기로
http://www.tjf.or.jp/clicknippon/ja/mywayyourway/11/post-28.php